해양수산부는 강, 하천, 하구의 물길을 연결해 물고기의 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고 있는 어도(魚道)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용성 확대 등을 위한 ‘제3차 어도종합관리계획(’23~‘27)’을 발표했다.
해양수산부는 2013년부터 '어도종합관리계획'을 수립ㆍ시행하고 있으며, 어도 개보수 사업, 어도 사진 공모전 등을 꾸준히 추진해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2010년 18% 수준에 불과했던 하천 연계율*은 2021년에 37%까지 향상됐고, 어도 사진 공모전**에 대한 관심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다만, 국가어도정보시스템의 이용률 저하, 어도 기능 확장 미흡, 지자체 관심 부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27년까지 하천 연계율을 43%로 높이고 불량어도의 비율도 3.0%까지 낮추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생명력 넘치는 어도, 풍요로운 내륙어촌”이라는 비전 아래, 3대 전략 및 18개 세부과제를 담은 “제3차 어도종합관리계획(‘23~’27)‘을 마련했다.
[전략 ①] 어도 효율성 극대화 및 하천 연계율 향상
어도 기능 강화를 위해 불량어도 중심으로 어도 개보수 지원을 확대하고, 미흡 상태의 어도는 지자체 등 관리 주체별로 자체 개선 조치계획을 수립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주요 수계별 어류의 생태, 하천의 특성 등을 반영한 맞춤형 어도의 개발을 추진한다.
현재 4개에 불과한 표준형식(도벽식·계단식·아이스하버식·버터컬슬롯식)을 어도의 형태와 생태 특성별로 효과성과 이용성이 우수한 형식으로 다양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문기관을 통해 어류추적, 유전자 조사 등을 이용하여 어도 설치에 따른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여 어도 사업 개선에 활용한다.
[전략 ②] 어도 관리체계 정비 및 고도화
어도의 실질적 관리를 위해 관리주체를 중앙정부에서 지자체 등 어도 설치자 중심으로 정비한다. 이러한 관리체계 변경에 따라 지자체의 조사 등 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전문기관인 국립수산과학원이 어도 실태조사 매뉴얼을 제작ㆍ보급하고, 관련된 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그간 활용성이 미흡하다고 지적받은 국가어도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를 위해 어도 실태조사와 시스템간 연계를 강화하고, 국내외 어도 관련 정책자료, 최신 기술동향 등 전문 콘텐츠의 정보공유 뿐만 아니라 정책 제안 등 담당자간 소통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자체 소통 플랫폼도 만들 계획이다.
[전략 ③] 어도의 다원적 기능 확대 및 인식도 향상
영국, 캐나다 등 주요 국가에서는 어도 관람창 같은 관람시설을 운영하는 등 어도를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에 어도를 활용한 체험형 생태교육 공간을 조성하고, 나아가 주변 내륙어촌의 경관을 연계한 관광프로그램 개발 등 관광 자원화를 통해 내륙어촌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또한, 어도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를 위해 홍보수단을 다양화한다. 우선, 어도사진 공모전 분야를 동영상까지 확대하고, 증강ㆍ가상현실 및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어도 체험관 등 디지털 홍보 콘텐츠도 개발하고 전시할 계획이다.
권순욱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은 “체계적으로 어도를 조성하고 관리하여 내수면 수산자원을 증대시키고, 생태체험 등 관광 기능을 발굴하여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하면서, “금번 수립한 제3차 어도종합관리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을 통해 내수면 수생태계를 보다 더 건강하게 유지·관리하도록 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